폭우가 쏟아지는 7월 14일 충남 논산시립 납골당을 방문했던 가족 4명이 산사태에 휩쓸리면서 2명이 심정지 상태라고 한다.


폭우로 인한 수위 상승으로 14일 대전 만년교 도로 차량 통행이 통제돼 있다. 사진은 내용과 관련 없음.
이날 오후 4시 2분쯤 호우 특보가 내려진 논산시립 양지추모원 납골당에서 산사태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방문객 4명이 매몰됐다가 1시간 30분 정도 지나 구조됐지만 70대인 윤모씨와 김모씨 등 부부 2명은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다.

윤씨의 59세 사촌 여동생도 생명이 위독하고, 21세 윤씨 부부의 손자는 의식은 있으나 중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이날 3층짜리 건물의 1층에서 비를 피하고 있다 앞에 있는 1층짜리 건물(영명각)이 굉음을 내면서 무너지는 것을 보고 이동하기 위해 3층 건물을 떠나는 순간, 산비탈에서 흙더미가 밀려 내리면서 묻힌 것으로 전해졌다.


3층짜리 건물은 사용 중이고, 붕괴된 1층짜리 영명각은 사용하지 않은 건물로 알려졌다.
양지추모원은 논산시립으로 쌍계사 아래 양촌면과 가야곡면 경계에 있다.


양지추모원 매몰 현장.
경찰과 소방 당국은 이들이 추모원 내 3층 건물에서 폭우를 피하다 앞 1층 건물이 붕괴되는 것을 보고 추모원을 떠나려는 순간 산사태가 덮쳐 변을 당한 것으로 보고 자세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강원 정선군 군도 3호선 피암터널 구간 사면에서 이달 들어 반복적으로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했다.
정선군은 전날 오후 6시 37분경 정선읍 봉양리 군도 3호선 피암터널 경사면에서 네 번째 산사태가 발생했다.
이번 산사태로 6000여 톤 규모의 암석이 무너져 내렸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